반응형 전체 글39 사도행전 8장 9장 사마리아의 성령 체험 사도행전 8장에 나오는 사마리아의 성령 체험은 규범적인가, 서술적인가 사도행전 2:38에서 베드로는 회개하고 세례를 받으면 성령을 선물로 받을 것을 약속했다. 그러나 본문에서 사마리아인들이 믿고 세례를 받았는데 성령을 받지 못했다. 그리고 예루살렘 교회에서 베드로, 요한 두 사도가 굳이 내려오고, 그들이 저희를 위하여 성령 받기를 기도했다(15절). 그 사도들의 기도에 대한 응답으로서 그들이 성령을 받았다(17절). 왜 누가는 2장의 베드로의 설교와 다른 형태의 성령 받는 것에 대해 여기에 기록하고 있는가? 왜 예루살렘에서는 빌립의 사역을 조사하고 확증하기 위해 베드로와 요한을 보내야 했을까? 왜 성령은 말씀을 전하고 세례를 행한 빌립 자신을 통해 주어지지 않았을까? 왜 하나님께서는 성령을 주시는 일을 .. 2021. 3. 11. 사도행전7장 스데반의 설교 복음을 자유롭게 -사도행전 7장 스데반의 설교를 중심으로- 서론 사도행전 7장에 기록된 스데반의 설교는 성전과 율법을 모독했다는 그에 대한 유대인들의 고발 내용(6:11-14)과 직결되어 있다. 스데반은 그의 설교에서 이 두 가지 주제에 대해 본인을 변론하며, 나아가 그리스도를 변론, 증거하고 있다. 누가는 스데반의 설교를 통해 유대인들에게 편만해 있던 선민사상을 고발하고, 장소에 제한받지 않으시는 하나님의 초월성을 강조함으로 앞으로 이방인들에게 전해질 복음 전파에 대한 서막을 열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본문의 설교 구조를 통해 스데반이 그의 설교를 통해 말하고자 한 내용과, 그 당시 유대인들의 신앙과 다른 점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배경 이해 1세기 팔레스틴 유대교는 중요한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2021. 3. 11. 사도행전 3장, 5장 누가가 사도행전 3:1-10의 기적 사건을 선택하여 기록한 목적과 그 기적의 의미 누가는 베드로의 오순절 설교 이후, 그 권능과 기사와 표적이 그들 가운데 존재하고 역사하심을 드러내려는 목적으로 앉은뱅이 기적 사건을 기록하였다. 예수께서 중풍병자를 고치시며, 일어나 걸으라고 했던 것처럼, 베드로는 앉은뱅이에게 비슷한 말을 하며, 역사적으로 이 땅의 교회의 처음 시작인 초대 교회에 예수 이름의 실재적 권능, 기적, 표적을 가시적으로 드러냄으로써, 초대 교회 안에 메시아 시대가 도래하였음을 보여주려는 의미이다. 누가가 사도행전 5:1-11의 아나니아와 삽비라 사건을 기록한 목적과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교훈 누가는 베드로를 통해 주의 영을 시험한 아나니아와 삽비라 사건을 기록하였다. 이 부부의 부정직함으로 인.. 2021. 3. 11. 사도행전 2장 베드로의 오순절 설교 베드로의 오순절 설교를 읽고 베드로가 요엘2:28-32과 시16:8-11을 인용한 이유와 이 예언의 핵심 포인트는 무엇일까? 베드로는 오순절 설교에 요엘2:28-132과 시편16:8-11을 인용하여, 1) 설교를 상황과 연결시키고(14-21), 2) 예수의 생애를 간략하게 소개하며(22-24), 3) 예수의 죽음을 둘러싼 유대인들의 죄상을 폭로하고(23), 4) 이들의 잘못된 행위에 그분을 죽음에서 건지시는 하나님의 위업을 대비시키며(24), 5) 예수의 삶에 대한 제자들의 목격 증언(32절)과 성경의 증언(25-31, 34-35절)을 강조하고 6) 참회의 촉구와 예수 그리스도께 대한 믿음을 통한 죄사함(38-40절)을 설교의 결론으로 제시한다. 이러한 내용을 주어진 본문 구조와 석의를 통해, 베드로가 .. 2021. 3. 8. 이전 1 ··· 6 7 8 9 1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