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도행전34

사도행전 22장의 바울의 연설과 9장의 바울 회심 기사의 다른 점 과 그 의미 22장의 바울의 연설과 9장의 바울 회심 기사의 다른 점 과 그 의미 22장의 바울의 회심에 대한 기록은 9장과 비슷해 보이지만 상이점들이 있다. 제일 큰 차이는, 9장은 누가가 전지적 작가 시점으로 하나님의 바울의 회심을 향한 목적과 뜻을 강조하면서 기록했다면, 22장은 누가가 바울의 일인칭 시점에서 바울이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소명(부르심)과 그의 따른 자신의 사역에 대해 강조함을 두고 있다. 표현과 강조점에 있어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22장과 9장은 동일하게 이방인들을 향한 복음 전할 삶을 살게 될 것에 대해 말하고 있다. 인간의 뜻과 계획이 하나님의 뜻과 그의 목적 안에서 다르지 않고, 하나로 어우러져 하나님의 큰 그림을 완성시켜 나갈 수 있다. 이러한 깨달음은 우리 자신과 우리.. 2021. 3. 16.
사도행전 19장 21-41에 기록된 에베소에 일어난 소동 기사를 통해 배울 점 사도행전19장 21-41에 기록된 에베소에 일어난 소동 기사를 통해 배울 점 누가는 19장에서 복음이 얼마나 사회적 경제적 영향력을 주었는지를 기록하고 있다. 에베소에서 벌어졌던 복음의 영향력이 얼마나 대단한지를, 1) 복음이 외부에 영향력을 미친 사건을 스게야의 일곱 아들 사건을 통해서, 2) 내부적으로는 복음을 받아들이는 사람들의 삶이 바뀌었다는 것(마술 책을 태움), 3) 23절 이하 아데미 여신의 영향을 받던 이 도시가 복음 때문에 이방 종교가 영향을 받는 사건을 통해증명하고 있다. 9장 전반부는 복음의 성공을 묘사한다면, 23절 이하는 이 복음의 영향력과 동시에 복음의 거부당함을 기록하고 있다. 복음의 긍정적 영향력과 복음에 대한 거부를 동시에 기록하고 있다. 복음의 거부 내용을 볼 때 (23절.. 2021. 3. 14.
사도행전 17장 바울의 아레오바고 설교의 특징 바울의 아레오바고 설교의 특징 17장 16-34절은 아테네에서의 복음 전도 이야기로써, 바울이 순수하게 구약적 배경이 없는 이방인들에게 어떻게 복음을 전하는지 모델을 제시한다. 먼저 바울의 아레오바고 설교의 논리적 흐름을 살펴보면, 알지 못하는 미지의 신 이야기(23절)로 시작하여 참되신 하나님을 소개하며(24절), 종국적으로 예수님을 소개한다(31절, 이는 정하신 사람으로). 바울은 진리라는 측면으로 접근해 가는데, 우주와 그 가운데 만물을 지으신 하나님에 대한 진리(24-25절), 인간에 대한 진리(26-29절), 하나님의 심판에 관한 진리(30-31절)를 선포한다. 바울은 앞서 13장 비시디아 안디옥에서 이스라엘 사람들과 하나님을 경외하는 사람들(13:26)과, 유대인과 유대교에 입교한 경건한 사람.. 2021. 3. 14.
사도행전 15장과 갈라디아서 2장의 연관성에 관해 사도행전 15장과 갈라디아서 2장의 연관성에 관해 서론 사도행전 15장의 내용이 갈라디아서 2장의 사건을 가리킨다고 보는 견해와 갈라디아서 2장은 바울의 두 번째 예루살렘 방문 때(행 11:30) 일어난 사건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본 소논문에서는 두 견해의 장, 단점을 정리하고 어느 견해가 더 타당성이 있는지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본론 사도행전 15장은 예루살렘교회의에 관한 기록은 자세히 기록되어 있지 않고 요약된 형태로 소개되어 있으며 누가는 회의록을 수록하지 않았다. 그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 부분 즉 예루살렘 교회의 두 기둥인 베드로와 야고보의 연설만을 요약된 형태로 수록해 두었다. 한편 갈라디아서는 이 회의에 직접 참석했던 바울의 증언을 담고 있다. 바울의 직접적인 증언이 사도행전의 제삼자.. 2021. 3. 14.
반응형